https://science.nasa.gov/eclipses/future-eclipses/eclipse-2024/
작년 10월 14일에 이어 금년 4월 8일에도 미국에서 개기일식 있는거 아시지요?
이번에는 링은 안 보인고 태양주변으로 빛이 보인다고 하네요.
제대로 보시려면 아래 지역으로 여행계획도 세워 보세요. 무엇보다도 늦기전에 일식 안경을 아마존등에서 사서 준비하시고요.
Texas, Oklahoma, Arkansas. Missouri, Illinois, Kentucky, Indiana, Ohio, Pennsylvania, New York, Vermont, New Hampshire and Maine.
캘리포니아에서도 부분일식은 볼 수 있다고 합니다.
“””
How much of the eclipse will be visible in California?
California is not in the path of the total solar eclipse. But the West Coast will see parts of the eclipse.
"If you're paying attention, you'll probably sense a little bit strangeness in the light," Krupp said. "It'll be a little off, not a lot. But, if you're able to watch it directly, you can see this operation of Newton's gravity happening right in front of your very eyes."
In the Los Angeles area, people will see 48.6% of coverage of the sun, according to NASA. The process will begin just after 10 a.m., reach the peak at 11:12 a.m. and end at 12:21 p.m.
In the Bay Area, people will see 35.9% of coverage of the sun. The process will begin just before 10:15 a.m., reach the peak at 11:13 a.m. and end at 12: 16 p.m.
“””
댓글 10
-
-
아들은 위에 있는 사진 셋업의 telescope 가 태양의 corona 를 찍기에 좀 부족해서,
70~300 mm focal Length Lense 를 새로 구입해서 Solar Filter를 연결했다고 하네요.
Full sun's Intensity 를 70 mm 로 찍을 경우
그리고 Full sun's Ontensity 를 300 mm 로 찍을 경우
아들 말에 의하면,
" My telescope has an H-alpha filter that selects only the ~656 nm wavelength corresponding to
the alpha transition for hydrogen which allows me to see detail on the surface of the sun, sun spots,
prominances, etc. is likely a differnt wavelength the corona."
뭔 말을 하는지 대충만 알겠는데, 결론은 왜 새로 렌즈를 사야했는지를 이야기하는군요.
장비에 엄청난 비용을 썻는데 이번에 texas 에 가서 이런 멋진 사진을 찍어올것 같네요.
-
이제 내일이네요. 아드님은 텍사스로 가셨겠네요. 저는 그냥 작년 10월에 사용한 은박지 비슷한 솔라필터로 렌즈 앞을 가리고 찍으려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작년 10월에는 날씨가 흐려서 거의 끝나갈 무렵에 찍은 사진입니다.
내일은 날씨도 좋고 시간도 되니 내일 아침 11시 13분에 35.9% 일식 꼭 찍어 보겠습니다!!
-
오늘 맘 잡고 찍었습니다. 감상해 주세요.
시작하기전. 500mm 렌즈
500mm 렌즈로 일부러 나뭇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찍음.
일식 진행중. 500mm 렌즈.
오전 11:13분 최대일식. 800mm 렌즈와 1.4x Extender.
-
35.9% 일식이로군요~ 말씀하신 필터를 쓰면 렌즈를 통해 볼 때도 저렇게 보이는 건가요? 맨 눈으로 보아도 괜찮은건지요? 신기합니다. 아지랑님 아드님이 찍어오실 사진도 기대해봅니다~
-
위의 사진의 카메라셋팅이 너무나 무거워서 발란스가 안 맞아서 할수없이 이렇게 간단하게
70~300 mm Lense 와 solar Filter 와 Laptop 만 사용하여 촬영했다고 하네요.
여기 Laptop은
controlling the equatorial mount which is aligned with the rotation of the earth so that the telescope can easily track celestial bodies. It's also being used to operate the astrophotography camera.
개기일식이 진행중의 사진. 태양의 Flare 가 여러개가 보이네요. 화산처럼 생긴것은 아마 코로나 인듯..(저는 잘모름)
개기 일식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
밑의 일식 사진들은 어떻게 사진들을 프로세스 한 과정입니다.
Each photo is stack of 100 monochrome images.
Then I used another program called AutoStakkert to align and stack the images
to improve the signal to noise ratio.
That is fed into another program called imPPG to deconvolute and sharpen the images
and adjust the intensity values so that I can lighten of darken features that I'm interested in.
The prominences (like solar flares, coronal loops, etc.) are darker than the surface .
-
텍사스주는 일주일 내내 구름낀 흐린 날씨였었다네요.
하필이면 Totality 가 일어나는 순간에 순간에...
찐한 구룸이 해를 덮쳐서 헐~~~~ !!! 망했다 !!!
그래도 볼만 했었답니다.
그래서 완전히 달이 해를 가려버린 사진이 없다고 하네요.
다음에 이런 개기일식은 20년 후에 있다니까 ㅊㅊㅊ
-
혹시 장비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분을 위해서.
-
20년 후! 천체물리학 쪽 분들은 어쩜 숨도 아주 느 ...리 ... 게 ... 쉬는게 아닐지요 ㅎ
구름때문애 사진을 찍진 못했을지언정 그 순간 그 느낌은 정말 소중한게 아닐까 상상해봅니다~
아들은 Texas 주에서 개기일식을 보겠다고 작년에 비행기예약을 했어요.
이렇게 카메라를 셋팅했어요.
이렇게 세팅하면 태양을 찍을수가 있다네요. 해가 빨간색으로 하늘은 까맣게 찍히는군요.
해가 너무 눈 부셔서 카메라가 이렇게 인식하는가싶네요...잘 모르겠지만..
해의 표면에 불길이 살짝 보이네요. 촛점이 좀 안 맞았어요.
이것은 NASA 에서 찍은 태양인듯....몇달 전에 아들이 이 사진에 관해 설명을 해 줬었는데 기억이 전혀 않나네요.
Flare 가 더 많이 보입니다.